한스 짐머 vs 존 윌리엄스|영화음악 두 거장의 차이와 매력

영화 음악의 두 거장, 한스 짐머(Hans Zimmer)와 존 윌리엄스(John Williams). 이들의 음악은 어떻게 다른 감동을 주며, 어떤 방식으로 영화에 생명력을 부여하는가? 테마 중심과 사운드 혁신 사이에서 그들의 음악 세계를 비교합니다.

왼쪽부터 존윌리엄스(John Williams) , 한스짐머(Hans Zimmer)

 
영화가 관객을 사로잡는 데 있어 음악은 결코 조연이 아니다. 대사는 잊혀져도, 멜로디는 남는다.그 진실을 누구보다 잘 증명해온 이름이 있다. 존 윌리엄스, 그리고 한스 짐머. 이 둘은 마치 클래식과 전자음악, 선율과 공명, 전통과 혁신이 만나는 평행우주처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우리 감정에 깊은 흔적을 남긴다.
 
존 윌리엄스는 영화음악의 황금기를 클래식 오케스트레이션으로 부활시킨 작곡가다. 그는 '테마'를 중심으로 한 강력한 멜로디 라인을 설계한다. 《스타워즈》의 메인 테마, 《해리포터》의 Hedwig’s Theme, 《쥬라기 공원》의 웅장한 브라스, 《E.T.》의 따스한 현악. 이 모든 멜로디는 한 번 들으면 절대 잊히지 않는다. 그는 이야기에 음악을 덧입히는 게 아니라, 음악이 이야기를 앞서가게 만든다. 그의 음악은 클래식 교향곡처럼 구조적이며 완결된 감정선을 지닌다. 그의 악보에는 낭만주의 작곡가들(베를리오즈, 드뷔시, 슈트라우스)의 흔적이 묻어난다. 그래서 존 윌리엄스는 '영화 음악계의 베토벤'이라 불리기도 한다.
 
반면, 한스 짐머는 전통의 구조를 부수고, 소리의 공간을 다시 정의했다. 그는 오케스트라를 해체하고, 전자음과 믹싱, 샘플링, 공간감으로 감정을 만든다. 《인셉션》의 시간 왜곡을 표현한 "Time",《인터스텔라》의 파이프 오르간과 공허함, 《다크나이트》의 불협과 긴장, 《라이온킹》의 아프리카 리듬과 합창. 짐머의 음악은 멜로디보다 분위기와 몰입에 중점을 둔다. 그는 ‘음악’이 아니라, ‘공기 중 진동’을 디자인한다. 심지어는 소리의 침묵마저 활용해 관객의 심리를 조종한다. 그는 영화 음악을 사운드트랙의 시대에서 사운드스케이프의 시대로 옮겨온 장본인이다.
 
이 둘은 결코 비교의 대상이 아니다. 오히려 서로가 만들어낸 시대적 대화다. 한 명은 전통을 지키며 음악의 기둥을 세우고, 다른 한 명은 규칙을 무너뜨리며 새로운 공간을 연다.
 
마치 클래식과 모던 아트가 박물관 안에서 조용히 마주하는 것처럼 존 윌리엄스와 한스 짐머는 같은 무대 위, 서로 다른 빛으로 존재한다. 그리고 우리는 그들의 음악을 통해 영화가 끝난 뒤에도, 계속되는 감정의 여운을 살아간다.

 

한스 짐머(Hans Zimmer) 영화음악|인셉션·인터스텔라·듄·라이온킹등 OST 분석

한스 짐머(Hans Zimmer)는 독일 출신의 영화 음악 작곡가이자 음악 프로듀서로 1957년 9월 12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전통적인 오케스트라 사운드와 전자 음악을 결합한 독창적인 스

kiha0124.tistory.com

 

 

존 윌리엄스(John Williams)|영화음악의 전설이 만든 명장면의 멜로디들

‘스타워즈’, ‘해리포터’, ‘쥬라기 공원’ 등 영화사에 남을 테마를 만든 영화음악 거장 존 윌리엄스(John Williams)에 대해 살펴봅니다. 작곡가로서의 업적과 주요 OST, 클래식과 영화의 경계를

kiha0124.tistory.com